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餘白

[스크랩] 인간지칭 ‘호모(Homo~)`의 합성어 본문

가르침과 배움

[스크랩] 인간지칭 ‘호모(Homo~)`의 합성어

ccurru 2016. 10. 17. 11:55

 

 

사람은 호모사피엔스 생각하는 존재일세

생각을 함으로써 사람되는 존재일세

사람은 때를 사는 존재, 때의 그 뜻을 알아야 해

                                                = 고춘식, 「시조로 쓴 <씨알사상 씨알누리>(8)」중 #215 =

 

 

지난주에 영산대 한성안 교수의 경제관련 칼럼(한겨레, <한성안의 경제산책>, ‘경제야 이제 좀 놀자!’)을 읽으면서, 내용에 등장한 용어 ‘호모 파베르,’ ‘호모 사피엔스,’ ‘호모 루덴스’를 접하는 순간,

 

“아! 인간을 지칭하는 학명(學名) 또는 용어들에 있어, ‘호모 사피엔스’를 비롯한 명칭들을 개개별별로 그때그때 다양하게 접해왔는데, 그 합성어들을 모아 목록으로 작성해서 일별해보면 좋겠다! 인간의 본질이나 특성에 관해 인간 스스로가 포착한 통찰과 견해들이 역사적 문화적으로 다양한 측면에서 종합될 수 있을 거야. 인간 이해와 파악에 재미있는 작업이 될 수 있겠군.”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두루두루 열심히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기억에 떠오르는 용어부터 시작하여, 그 단어를 검색하는 중에 이어지게 되는 합성어를 14개째 찾아내고 나서, 와~! ‘리오 사람살리는 교육’이라는 사이트(http://leoedu.tistory.com/63 // 대안교육가 박성종님)에 링크가 된 거에요. 그런데 거기에 ‘인간의 학명(學名)’이라는 제목 아래,

 

문화적 인간, 교류하는 인간 이런 단어는 없을까?

http://lysy2.archives.nd.edu/cgi-bin/words.exe

 

노트르담대학의 라틴어-영어사전을 활용해서 굳이 만들어 보면,

 

호모 쿨투라(homo cultura): 문화적 인간

호모 코메르시움(homo commercium): 교류하는 인간

 

그리고, 한가지 더

호모 알테르나투스(homo alternatus): 대안적 인간

 

이 쓰여 있고, 이어서, 시시비비님의 블로그 자료를 가wudjl 재인용한 ‘호모~’합성어 목록이 있는 거에요! 겨우 14개를 찾아낸 후, 무려 84개가 정리된 목록을 만난 것입니다. 박성종님, 고맙습니다! 저의 수고를 덜어주셨습니당!

 

벗님들도 관심 가시면 리오님의 사이트(http://leoedu.tistory.com/63)를 방문해 보셔요.

 

여기서 저는 제가 개인적으로 더 관심이 가는 분야의 특성들을 가리키는 용어들을 위주로 추려 정리해 보았습니다. 학명 하나가 결코 인간 전체를 보여주진 못하지요. 다만 일면만을 비추어줄 뿐. 설사 목록이 보여주는 수십 개의 면면들을 다 합해도 아직 인간을 총체적으로 보는 데는 한참 미치지 못할 것입니다. 하지만, 인간이라는 존재를 향해 인간 스스로 바라보고 지각한 여러 가지 특성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인간을 지칭하는 ‘Homo~'의 합성어들 ===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 생각하는 존재

[↔호모 인사피엔스(homo insipiens): 생각하지 않은 인간]

*호모 파베르 (homo faber): 도구적 존재

*호모 루덴스(homo ludens): 유희적 존재

[…호모 루두스(homo ludus): 게임하는 인간]

*호모 쿵푸스(homo kungfus): 공부하는 존재

[…호모 에루디티오(homo eruditio): 학습하는 인간]

*호모 부커스/북커스(homo bookus: 책을 읽는 존재

*호모 에로스(homo eros): 사랑/연애하는 존재

*호모 코뮤니타스(homo communitus): 돈을 사용하는 존재

*호모 로퀜스(homo loquens): 언어를 사용하는 존재

*호모 폴리티쿠스(homo politicus): 정치적 인간

*호모 아르텍스(homo artex): 예술을 하는 존재

*호모 라보란스(homo laborans): 일하는 인간

*호모 비블로스(homo biblos): 기록의 인간

*호모 아카데미쿠스(homo academicus): 학문적 인간

*호모 에스테티쿠스(homo aestheticus): 미학적 인간

*호모 콘수무스(homo consumus): 소비하는 존재

*호모 쿠페라티부스(homo cooperativus): 협동적 인간

*호모 쿨투랄리스(homo culturalis): 문화적 인간, 제도적 인간

*호모 크레아투라(homo creatura): 창의적 인간

*호모 데지그난스(homo designans): 디자인하는 존재

*호모 에코노미쿠스(homo economicus): 경제적 인간

*호모 에스페란스(homo esperans): 희망하는 인간

*호모 에티쿠스(homo ethicus): 윤리적 인간

*호모 엠파티쿠스(homo empathicus): 공감하는 존재

*호모 나랜스(homo narrans): 이야기하는 사람

*호모 네간스(homo negans): 예 또는 아니오라고 말할 수 있는 존재

*호모 레시프로쿠스(homo reciprocus): 호혜적 인간, 상호 의존하는 인간

*호모 렐리기우스(homo religius): 종교적 인간

*호모 스피리투스(homo spiritus): 영적 인간

*호모 소키에스(homo socies): 사회적 인간

*호모 심비우스(homo symbious): 공생인(共生人), 더불어 사는 인간

*호모 주리디쿠스(homo juridicus): 정의로운 인간

*호모 소시올로지쿠스(homo sociologicus): 사회적 동물

*호모 레지스탕스(homo resistance): 저항하는 인간

*호모 테크니쿠스(homo technicus): 기술을 사용하는 존재

*호모 미디어쿠스(homo mediacus): 매체를 사용하는 존재

*호모 서치쿠스(homo searchcus): 검색형 인간

*호모 인터넷티쿠스(homo interneticus): 인터넷을 하는 인간

*호모 텔레포니쿠스(homo telephonicus): 전화하는 인간, 통신하는 인간

*호모 모빌리쿠스(homo mobilicus): 휴대폰을 생활화한 인류

 

 

이 명칭들 중에 벗님들은 어떤 호칭이 가리키는,

우리 인간의 어떤 본질이나 특성들이 개인적으로 가장 맘에 드시나요?

혹은 어떤 호칭 및 본질이나 특성들에 “맞아, 맞아! 정말 그래!”라고 가장 많이 수긍하고 맞장구치게 되나요?(하나, 사실 본질은 본래적인 성질, 즉 본성이라는 의미가 더 강하고, 특성은 다른 것과 상대적으로 볼 때 그것만이 지닌 특수한 성질이라는 의미가 강합니다. 그러나 여기서는, 인간이라는 존재만 놓고 본 본래적 성질과, 여타 생명체와 상대적으로 본 인간생명체만의 특질을 굳이 구분하지 않은 채 동일 맥락으로 보고요/하나, 약 90여개의 합성어들 중에 제가 개인적으로 추린 목록에서 빠진 합성어들이 있으므로, 일단 선택에 있어 치우쳐 있지만, 리오님이 사이트 참고하시고요)

 

으잉? 지구의 역사상 전쟁은 끊임없이 이어져 왔고, 우리나라의 경우 오늘은 육이오 한국전란 발발 64주년이잖아요. 그런데, 상기 호모 합성어 목록 중엔 ‘전쟁하는 존재’로서의, 싸우고 공격하며 약탈하는 인간으로서의 명칭은 없네요!

 

아래 추가하는 목록이 그런 면에 해당되겠지요?

 

*호모 데멘스(homo demens): 미친 인간, 광기의 인간

*호모 듀플렉스(homo duplex): 이중인, 이중적인 인간

*호모 라피엔스(homo rapiens): 약탈하는 사람

*호모 엑세쿠탄스(homo executans): 처형하는 인간

*호모 팔락스(homo fallax): 속이는 인간

출처 : 별빛의 블로그
글쓴이 : 별빛 원글보기
메모 :